매체란 연결하는 수단으로 도구를 의미한다. 미술치료에서 매체란 내적심상을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모든 재료를 말한다.
효과적인 매체 활용을 위해 치료사는 매체 특성에 대해 이해하고 내담자의 특성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매체 특성에 대한 이해와 선택
1. 비구조적인 매체
- 사용법이 정해져 있거나 활용의 폭이 좁은 것.
- 단순 만들기 활동에 사용 가능.
- 내담자는 창작 과정에서 심리를 보다 잘 나타내며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ex. 도화지, 찰흙 등.
2. 사용방법이 쉽고 안전한 매체
- 아동, 성인, 노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내담자가 사용할 수 있는 쉽고 안전한 매체. (사용방법이 까다로운 매체는 내담자에게 좌절을 안겨줄 수 있다)
ex. 어린 아동에게 물감을 줄 경우 마이너스.
3. 적당한 품질의 매체
- 치료사는 매체의 질의 차이를 알고 내담자 상황에 맞는 매체를 제시해야 한다.
4. 일반적인 압력을 견디는 매체
- 압력을 쉽게 견디지 못하는 매체는 내담자에게 좌절감을 줄 수 있다.
ex. ADHD 아동에겐 단단한 점토를 줄 것.
5. 시공간적 환경을 고려한 매체 사용
- 치료사는 내담자가 활용하는 매체 사용의 시간과 공간을 미리 염두해야 한다. 특히 집단미술치료 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오늘 안에 끝날 수 있는 작업인지, 다음 시간까지 진행할 작업인지 미리 시간적 제한이 있음을 고지할 필요가 있다.
ex. 단체 신체본뜨기.
6. 매체 관리와 보관
- 내담자의 작품을 소중하게 다루는 것은 내담자를 존중한다는 의미다. 관리와 보관은 미술치료에서 상당히 중요한 영역이다.
매체의 종류
그리기 매체
- 건식매체 : 연필, 색연필, 사인펜, 파스텔, 분필, 마커 등
- 습식매체 : 수채물감, 마블링물감, 염료, 유약, 아크릴물감(유화,수채화의 장점 종합) 등
- 종이 : 색종이, 한지, 골판지, 포장지, 도화지(내담자의 특성과 에너지에 따라 사이즈가 달라짐) 등
조소 매체
- 건조매체 : 목재류, 벽돌, 우드락, 아이소핑크(입체 조형물을 만들 때 사용), 발포석고(가벼움), 철사, 끈, 모루, 낚시줄, 솜, 스티로폼, 자연물 등
- 습식매체 : 찰흙, 지점토, 종이죽, 유토(굳지않는 점토), 컬러 클레이, 석고가루 등
비정형 매체 및 기타
풀, 반짝이풀, 물, 밀가루, 바셀린, 면도크림, 캔, 빈 병, 에어캡, 글라스데코, 빨대, 수수깡, 이쑤시개 등 각종 생활용품 포함
도구
붓, 파레트, 물통, 주걱, 나무망치, 가위, 본드, 테이프, 글루건, 칼, 자, 픽서스프레이, 스펀지 등 각종 공예도구 포함
효과적인 매체활용을 위해 치료사는 꾸준히 매체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내담자 특성에 맞게 매체를 준비할 뿐 아니라 새롭게 나오는 매체에 대한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모든 매체에 대한 특성을 알 수는 없지만 기본이 되는 매체는 알고 있어야 한다. 생활 속에서 사용할 수 있는 매체에 대해 연구하고 스스로 경험함으로써 내담자에게 다양한 매체 경험을 제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ex. 재활용은 쓸모없다고 여긴 물건의 재탄생으로 부정적인 것을 창조적으로 긍정화 하는데 도움이 된다.
내담자 특성에 대한 이해와 매체 연구
- 통제를 기준으로 한 매체 특성
젖은 점토(1) < 그림물감 < 부드러운 점토 < 오일파스텔 < 두꺼운펠트지 < 콜라주 < 단단한 점토 < 얇은 펠트지 < 색연필 < 연필(10)
10에 가까울수록 단단하며 높은 통제력을 갖는다.
ex. 힘없는 환자 - 그림물감, ADHD 아동 - 색연필
'초보엄마의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술치료에 매체에 대한 탐색과 작품에 대한 이해 (0) | 2022.08.21 |
---|---|
인지주의와 행동주의적 미술심리상담의 접근과 대상 (0) | 2022.08.19 |
인본주의적 미술심리상담 접근과 종류 (0) | 2022.08.18 |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 (0) | 2022.08.15 |
심리발달의 이해와 아동 인지/성격/표현/심리사회적 발달단계 (0) | 2022.08.14 |